이왕 발 디딘 이승, 원없이 즐겨야하지 않겠소?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이왕 발 디딘 이승, 원없이 즐겨야하지 않겠소?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NaverBlog
  • Github
  • 분류 전체보기 (89)
    • 이승정복 프로젝트 (0)
      • 이승에서 뽕 뽑는 법 (0)
    • Study (83)
      • Language (21)
      • Algorithm (21)
      • Discrete math (6)
      • Graphics (18)
      • Tip notes (6)
      • And so on (6)
      • UnrealEngine4 (5)

검색 레이어

이왕 발 디딘 이승, 원없이 즐겨야하지 않겠소?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Study/Language

  • [C++] MFC란 무엇인가?

    2022.02.26 by Arq.Dev5igner

  • [C++] 메모리 동적 할당 (new, delete)

    2022.02.26 by Arq.Dev5igner

  • [C++11 STL] std::tuple 개요

    2022.02.25 by Arq.Dev5igner

  • [C++11 STL] std::shared_ptr 개요

    2022.02.25 by Arq.Dev5igner

  • [C++11 STL] std::array 개요

    2022.02.25 by Arq.Dev5igner

  • [C++ STL] std::set 개요

    2022.02.25 by Arq.Dev5igner

  • [C++ STL] std::forward_list 개요

    2022.02.25 by Arq.Dev5igner

  • [C++ STL] list 개요

    2022.02.25 by Arq.Dev5igner

[C++] MFC란 무엇인가?

MFC란? - 마이크로소프트 파운데이션 클래스 라이브러리(Microsoft Foundation Class Library)는 C++용 프로그램 라이브러리입니다. - 윈도용 응용 프로그램의 통합 개발 환경인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C++에 부속되는 클래스 라이브러리입니다. - MFC를 사용하면 코딩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어 대부분의 C++ 개발자들이 사용합니다. MFC의 특징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- C++의 특성을 그대로 이어받습니다. (객체지향, C++의 모든 문법) - 윈도우의 Object를 포함하는 시각적 객체를 사용합니다. 이벤트 처리방식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윈도우에 어떠한 동작을 했을 경우 그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사건의 중심의 프로그램을 하며 (이것을 Event Driven Programmi..

Study/Language 2022. 2. 26. 20:51

[C++] 메모리 동적 할당 (new, delete)

C와 C++은 다른 개발언어와 달리 포인터를 사용하여 메모리를 직접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C에는 malloc()과 free()라는 함수를 통해서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하였는데 C++에서는 new와 delete라는 연산자를 활용하여 메모리를 관리합니다. new는 malloc() 함수와 달리 메모리 크기를 정하지 않고 동적으로 할당합니다. new와 delete 사용법 //메모리 할당 사용법 타입 *변수명 = new 타입; //메모리 할당 delete 변수명 //메모리 할당해제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*point = new int; //메모리 동적할당 *point = 100; cout

Study/Language 2022. 2. 26. 20:49

[C++11 STL] std::tuple 개요

※ std::tuple 요약 TR1부터 새롭게 추가된 std::tuple은 C++98에서 기본 제공하던 std::pair의 확장 버전으로써, 컴파일 시간에 명시되거나 추론될 수 있는 데이터형 요소들을 가지는 이종 목록(heterogeneous list)이다. TR1인 Visual Studio 2010에서는 10개의 요소를 저장할 수 있고 C++11을 부분 지원하는 Visual Studio 2013부터는 저장 가능한 항목 개수에 제한이 없고 각각의 항목마다 개별 타입으로 지정 가능하다. ※ std::tuple 특징 std::tuple은 주로, 함수에서 2개 이상의 값을 반환해야할 때 사용한다. 기존에는 구조체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값을 리턴했지만, 단순히 2개 이상의 값을 반환하기 위해 구조체를 만드는 ..

Study/Language 2022. 2. 25. 17:49

[C++11 STL] std::shared_ptr 개요

※ std::shared_ptr 요약 C++11에 새로 추가된 스마트 포인터인 shared_ptr에 대한 내용이다. 스마트 포인터란,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나 사용이 끝난 메모리를 자동으로 해제/관리 해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Java나 C#의 가비지 컬렉터와 비교 했을때 성능의 손해는 거의 없으면서 메모리 관리의 이점을 얻을 수 있으므로 편하고도 안전하다. 스마트 포인터는 메모리 누수 관리에 자신이 없는 초보자들이나 복잡하고 거대한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사용하면 적당할 거 같다. 그렇지만 필자는 스마트 포인터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 아직은 직접 할당, 해제를 해줘야 안심?이 되기 때문이다. ※ std::shared_ptr 특징 - 레퍼런스(참조) 카운팅을 지원한다. - 명시적인 delete를 해주지 ..

Study/Language 2022. 2. 25. 17:47

[C++11 STL] std::array 개요

※ std::array 요약 std::array는 C++11에 새롭게 추가된 컨테이너 라이브러리로써, 크기가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std::vector와 비슷하다. 크기가 고정이므로 스택에 저장되며 C++03까지는 없었던 고정 길이 배열 자료구조 컨테이너로써 기존의 배열을 대체하기에 완벽하다. ※ std::array 특징 - 배열을 대체할 수 있다. - 정적 배열이므로 스택에 저장된다. (std::vector는 힙 메모리에 저장된다!) - 데이터가 연속된 위치에 저장되므로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고 접근 속도도 빠르다. - 정적이므로 push_back(), pop_back(), insert(), erase(), clear(), resize(), reserve(), capacity()멤버 함수는 지원..

Study/Language 2022. 2. 25. 17:43

[C++ STL] std::set 개요

※ std::set 요약 std::set은 std::map과 상당히 비슷한 연관 컨테이너이다. 다른 점이 있다면 value 없이 key만으로 이뤄졌다는 것 정도이다. std::set은 노드 기반 컨테이너이며 균형 이진 트리로 구현 되므로 균형 이진 트리의 모든 특징을 갖는다. std::set은 std::map과 마찬가지로 중복된 key를 저장할 수 없으므로, 중복 저장하고 싶다면 std::multiset을 사용해야 한다. 동일 타입 집합이라는 점에서는 std::vector와 같지만 요소가 정렬된 위치에 삽입 된다는 점이 다르다. ※ std::set 특징 - std::set은 std::map과 상당히 비슷하다. 차이점이라면 std::map과 다르게 value 없이 key만 저장한다는 것 정도다. - std..

Study/Language 2022. 2. 25. 17:43

[C++ STL] std::forward_list 개요

※ std::forward_list 요약 std::list가 양방향(double linked list)이라면 std::forward_list는 단방향(single linked list)이다. 단방향 연결 리스트라 양방향인 std::list보다 메모리 사용량이나 처리 속도면에서 조금 유리하다. double linked list가 필요하다면 std::list를, single linked list로도 충분하다면 std::forward_list를 사용한다. ※ std::forward_list 특징 - single linked list(단일 연결 리스트)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만든 시퀀스 컨테이너다. - 설계 디자인을 std::list에 맞춘다.(STL은 범용성을 지향하므로 다른 컨테이너들도 마찬가지다.) - 속도..

Study/Language 2022. 2. 25. 17:41

[C++ STL] list 개요

※ std::list 요약 std::list는 double linked list(이중 연결 리스트)라는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만든 시퀀스 컨테이너다. 템플릿 기반이므로 임의 타입을 요소로 가질 수 있으며, 요소 개수에 따라 동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한다. double linked list로 되어 있기에 double linked list의 특징을 거의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linked list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알맞는 상황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. 필자는 std::list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 나뻐서 안 사용한다기 보다는 std::vector로도 충분한 상황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. ※ std::list 특징 - 고정 길이인 배열에 비해 길이가 가변적이다. - std::vector와 달리 데이터..

Study/Language 2022. 2. 25. 17:40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 2 3
다음
TISTORY
이왕 발 디딘 이승, 원없이 즐겨야하지 않겠소?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