옵션
|
설명
|
Border
|
하나의 자손 위젯을 가질 수 있는 컨테이너 위젯
테두리 이미지와 조절가능 여백을 두고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기능 제공
|
Button
|
단일 자손 클릭 가능 Primitive 위젯으로, 기본적인 상호작용에 사용.
버튼 안에 다른 위젯을 배치하여 UI 에 좀 더 복잡하고 재미난 클릭가능 요소를 만들 수 있다.
|
Check Box
|
'unchecked' 체크해제 / 'checked' 체크됨 / 'indeterminable' 확인불가 세 가지 토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.
체크 박스는 고전 체크 박스, 토글 버튼, 동글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.
|
Image
|
이미지 위젯으로 UI 에 슬레이트 브러시, 텍스처, 스프라이트, 머티리얼을 표시할 수 있다.
* 같은 텍스처 아틀라스에 들어있는 스프라이트는, 렌더링할 때 같은 레이어를 공유하는 경우 슬레이트에 일괄 배치시킬 수 있습니다. 즉 드로 콜 수 예산이 빠듯한 플랫폼에서는 Paper2D 스프라이트를 브러시 입력으로 사용하는 경우 UMG 와 슬레이트 위젯의 렌더링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는 뜻입니다.
|
다른 위젯을 채울 수 있는 사용자 위젯에 대한 외부 슬롯을 노출시켜 주는 위젯.
커스텀 위젯 함수 기능을 만드는 데 좋다.
|
|
Progress Bar
|
경험치, 생명력, 점수와 같은 여러가지 용도에 맞도록 스타일 조정이 가능한, 단순한 바.
|
Slider
|
0-1 사이 값 조절이 가능한 핸들이 있는 미닫이 바가 표시되는 단순 위젯.
|
Text
|
화면상에 텍스트를 표시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, 옵션이나 기타 UI 요소에 대한 텍스트 설명에 사용 가능
|
Text Box
|
한 줄 텍스트만 입력 가능한 커스텀 입력
|
Text Box
(Multi-Line)
|
Text Box 와 비슷하지만 한 줄이 아닌 여러줄 입력이 가능
|
Expandable Area
|
확장가능 영역 - 컨테이너 안의 자손 위젯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.
|
Combo Box (String)
|
콤보 박스 (문자열) - 사용자에게 드롭다운 메뉴로 옵션 목록을 표시하고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.
|
Spin Box
|
숫자를 직접 입력하거나 슬라이더로 입력할 수도 있는 숫자 입력 박스.
|
옵션
|
설명
|
Circular Throbber
|
회전하는 원형 이미지로 주로 로드중임을 나타내는 위젯.
|
Throbber
|
연속해서 여러개 확대되는 원으로 보이는 애니메이션 트로버 위젯.
(주로 로딩중임을 나타낼 때 사용)
|
Editable Text
|
박스 배경 없이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글상자. 한 줄만 지원.
|
Editable Text
(Multi-Line) |
Editable Text 와 비슷하나 한 줄이 아닌 여러줄 텍스트를 지원
|
팝업 메뉴의 기준이 되어 띄울 위치를 지정
|
|
Native Widget Host
|
하나의 자손 슬레이트 위젯을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 위젯.
UMG 위젯 안에 네이티브 위젯을 중첩시키기만 하면 되는 경우에 사용.
|
Spacer
|
다른 위젯 사이에 임의의 여백을 제공해 주는 위젯. 시각적 표시가 없어 게임에서 보이지 않는다.
|
Background Blur는 하나의 자손 위젯을 가질 수 있는데, 거기에 조절 가능한 패딩을 붙여 포스트 프로세스 가우시안 블러를 적용하여 위젯 아래 모든 콘텐츠에 블러를 적용할 수 있다.
|
패널
옵션
|
설명
|
Canvas Panel
|
위젯을 임의 위치에 배치하고, 앵커 설정하며, 캔버스의 다른 자손과 Z 순서를 조정.
Z 순서를 수동 변경할 수는 있어도 위젯은 목록 순서대로 렌더링.
캔버스 패널은 위치가 절대적인 수동 배치에 좋은 위젯이지만, 위젯을 절차적 생성 방식으로 컨테이너에 넣고자 할 때는 그리 좋지 않다. 앵커 관련 상세 정보는 앵커 페이지를 참고하세요.
|
Grid Panel
|
남은 공간을 모든 자손 위젯과 균등하게 나누는 패널.
|
Horizontal Box
|
자손 위젯을 가로로 배치.
|
Overlay
|
위젯이 서로 쌓이도록 하며, 각 레이어의 콘텐츠에는 단순한 레이아웃을 사용.
|
Safe Zone
|
플랫폼의 안전지대 정보를 뽑아 패딩을 추가.
|
Scale Box
|
원하는 크기의 콘텐츠를 배치하고 이 박스의 할당 영역에 배치된 제한에 맞도록 스케일을 조절.
배경 이미지가 일정 영역에 맞게끔 스케일 조절은 하지만 종횡비가 달라져 찌그러지지는 않도록 하거나, 특정 텍스트를 한 영역에 자동으로 맞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좋다.
|
Scroll Box
|
임의의 스크롤가능 위젯 모음.
목록에 10-100 개의 위젯을 넣을 때 좋습니다. virtualization는 지원하지 않는다.
|
Size Box
|
원하는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위젯을 Size Box 로 감싸면 특정 크기로 강제시킬 수 있다.
|
Uniform Grid Panel
|
자손 모두와 남은 공간을 균등하게 나누는 패널.
|
Vertical Box
|
자손 위젯이 자동으로 세로로 배치되도록 하는 위젯.
위젯끼리 세로 정렬을 유지하면서 서로 쌓이도록 하는 데 좋다.
|
Widget Switcher
|
탭처럼 제어되는 것으로, 이와 함께 하여 탭 효과를 낼 수 있다.
한 번에 최대 하나의 위젯만 보이게 한다.
|
자손 위젯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정렬.
위젯이 폭 제한을 넘은 경우, 위젯을 다음 줄에 배치.
|
옵션
|
설명
|
이것에 둘러싸인 위젯은 그 자손 위젯 지오메트리를 캐시에 담아 슬레이트 렌더링 속도를 올릴 수 있다.
인밸리데이션 박스로 인해 캐시에 담긴 위젯은 프리패스(Prepass), 틱(Tick), 페인트(Paint) 처리되지 않는다.
|
|
Retainer Box
|
렌더 타깃에 자손 위젯을 먼저 렌더링한 후 나중에 그 렌더 타깃을 화면에 렌더링.
이를 통해 UI 가 메인 게임 렌더 빈도보다 실제로 적게 렌더할 수 있도록 빈도와 단계(phase) 모두 제어할 수 있다. 위젯을 그린 후 머티리얼을 렌더 타깃에 적용시켜 단순 포스트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부가 효과도 있다.
|
[언리얼 Tip] FName, FText, FString (1) | 2024.01.20 |
---|---|
[Unreal Engine 4] UI 렌더링 시스템 부하 (0) | 2023.02.14 |
[Unreal Engine 4] 메모리 관리 (0) | 2023.02.05 |
[Unreal] 언리언의 UI 시스템 (UMG, HUD, Slate) (0) | 2023.02.05 |